전기차 배터리 제조 소재 정보

전기차 배터리 제조에 사용되는 주요 소재는 배터리의 성능, 안정성, 효율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리튬이온 배터리를 기준으로, 핵심 소재는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질로 나뉩니다. 아래에서 각 소재의 역할과 특징을 설명합니다.

1.양극재

구성 요소: 니켈(Ni), 코발트(Co), 망간(Mn), 알루미늄(Al) 등의 금속 산화물.

역할: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와 용량을 결정하는 핵심 소재로, 리튬 이온의 저장과 방출을 담당합니다.

종류:

  • NCM(니켈-코발트-망간): 높은 에너지 밀도를 제공하며, 전기차 배터리에 널리 사용됨
  • NCA(니켈-코발트-알루미늄): 테슬라 등에서 사용하며 에너지 밀도가 높음
  • LFP(리튬-철-인산): 안전성과 수명이 뛰어나며 가격이 저렴하지만 에너지 밀도가 낮음

양극재 제작 업체 : 에코프로BM, 포스코퓨처엠, 엘앤에프, 코스모신소재, LG화학 

2. 음극재

구성 요소: 주로 흑연(Graphite) 또는 실리콘(Si) 기반 물질.

역할: 리튬 이온을 저장하고 방출하는 역할로, 충전 속도와 수명에 영향을 미칩니다.

특징:

  • 흑연은 안정적이고 경제적이지만 에너지 밀도가 낮습니다.
  • 실리콘은 흑연보다 더 많은 리튬 이온을 저장할 수 있지만 팽창 문제가 있어 보완 기술이 필요합니다

음극재 제작 업체 : 포스코퓨처엠, LG화학

3. 분리막

구성 요소: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 절연 특성이 뛰어난 고분자 소재.

역할: 양극과 음극이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물리적으로 분리하면서 리튬 이온의 이동을 허용합니다.

특징:

  • 건식 분리막: 제조 공정이 간단하며 ESS와 같은 대형 배터리에 적합
  • 습식 분리막: 기계적 강도가 높고 얇아 고용량 전기차 배터리에 주로 사용됨

분리막 제작 업체 : SKIET

4. 전해질

구성 요소: 유기 용매(탄산에틸렌 등)와 리튬염(LiPF6).

역할: 리튬 이온이 양극과 음극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돕는 매개체입니다.

특징:

액체 전해질이 일반적이나, 고체 전해질(Solid Electrolyte)은 안전성과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전해질 제작 업체 : 동화기업, 솔브레인

5. 기타 첨단 소재

  • 나노활성탄소 및 세라믹 코팅 분리막: 안전성과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됨
  • 금속-공기 배터리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및 아연 등은 차세대 배터리 연구에서 주목받고 있음

전기차 배터리는 이러한 소재의 조합과 기술 개발에 따라 성능과 안정성이 크게 좌우됩니다. 제조사들은 비용 절감과 환경친화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소재를 선택하고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